| 분야 | 미래 반도체 기술의 가치 창출 |
|---|---|
| 대주제 | 반도체 과거/현재/미래 |
| 강연설명 | 인공지능과 데이터 집약 시대를 맞아 반도체 기술의 성패는 성능·전력·면적·비용(PPA+C)의 최적 조합을 달성하고, 이를 넘어서는 혁신으로 시장과 사회의 요구를 신속히 충족하여 금전적·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느냐에 달려 있습니다. 본 럼프 세션은 메모리(DRAM, Flash), 파운드리, 실리콘 포토닉스, 양자 소자, 패키징 분야의 전문가를 한자리에 모아 미래 반도체 기술의 전망과 그를 통한 가치 창출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하고자 합니다. |
| 사회자 | |
| 패널리스트 |
성석강 마스터
삼성전자
|
권욱현 마스터
삼성전자
|
|
윤상원 교수
서울대학교
|
|
남동욱 교수
KAIST
|
| 분야 | TBA |
|---|---|
| 대주제 | Beyond Chips: AI 반도체, 시스템과 서비스를 향한 진화 |
| 강연설명 | TBA |
| 사회자 | |
| 패널리스트 |
그간 반도체 회사들과 네이버클라우드의 협력 사례들을 중심으로, AI 반도체가 빠르게 변화하는 AI에 발 맞추어 나가기 위해서 어떤 어려움이 있고, 이를 뚫어내는 협력이 어떻게 필요할지 말씀드리고자 합니다.
|
|
AI Service가 generative AI를 넘어 Agentic AI로 진화하면서, 다양한 AI agent의 협업 처리 방식 확산으로 Token 사용량 증가로 인해 메모리/연산 부하가 급증하고 있습니다. 이에 대한 효율적 처리를 위해서 legacy 메모리와 스토리지의 차별화를 넘어 준비하고 있는 AI 시대의 핵심 요구사항에 맞춘 full stack solution에 대해서 소개합니다.
|
|
|
현업에서 10종 이상의 AI 반도체를 사용해보면서 모델 및 추론 엔진을 최적화해 본 경험을 공유하고자 합니다. 하드웨어를 넘어 소프트웨어 측면에서 어떠한 방향으로 발전해야 할지를 논의해보고자 합니다.
|